Windows 에서 MD5 해시 값 구하기(with Hashtab)

Windows 에서 MD5 해시 값 구하기(with Hashtab)

Overview

업무를 하다보면 두 파일이 완전히 동일한지, 즉 무결성을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해시 값을 비교해야 할 때가 있다. 해시 알고리즘에는 MD5, SHA1, SHA256, 등 다양한 것들이 있으며 이중 MD5가 비교적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MD5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은 매우 다양하지만, 매번 해시 연산이 필요할 때마다 연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은 귀찮기 짝이 없는 작업이다.

이 글에서는 Hashtab 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실행 없이 편하게 파일의 해시 값을 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Install

Hashtab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설치를 진행하는 과정은 일반적인 설치 파일과 크게 다르지 않다.

Hastab 다운로드 사이트

다운로드한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를 진행한다.

Hashtab 설치 화면

라이선스에 동의하면 I Agree 버튼을 클릭한다.

Hashtab 라이선스 동의 화면

설치 경로를 변경하고자하면 Browse 버튼을 설치 경로를 지정하고 Install 버튼을 클릭한다.

Hashtab 설치 경로 설정 화면

Usage

Hashtab 설치에 성공하면 임의의 파일의 해시 값을 알 수 있다.

먼저 해시 값을 알고자하는 파일을 우클릭 후, 속성 버튼을 클릭한다.

파일 우클릭 후 출력되는 속성 창

해당 파일과 관련된 여러 파일 속성 탭이 보이는데 이 중 파일 해시 탭을 선택한다. 파일 해시 탭은 기본적으로 해당 파일의 데이터에 대해 CRC32, MD5, SHA-1 알고리즘에 대해 연산 후 그에 대한 결과를 보여준다.

파일 해시 탭

해시 값을 클릭 후 Ctrl+C 로 복사하거나, 우클릭 복사 버튼으로 복사할 수 있다.

해시 값 복사 창

Hashtab을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CRC32,MD5,SHA-1 알고리즘이 자동으로 선택되어 있다. 다른 알고리즘에 대한 해시 값이 필요하거나, 불필요한 연산을 피하고 싶다면 설정 버튼을 클릭하여 표시할 해시 알고리즘을 선택할 수 있다.

알고리즘 선택 창

MD5만 사용하도록 설정한 결과, 다른 알고리즘은 출력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설정 적용 결과